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시안 성인 57%, “아시안 인종차별이 주된 문제”

미국 내 아시안의 57%는 여전히 인종차별을 주된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여론조사전문기관 퓨리서치센터는 지난 2021년부터 조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시안이 인종차별을 주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센터는 지난 2022년부터 아시아계 중국인, 인도인, 한국인, 필리핀인, 베트남인 등을 대상으로 7000건이 넘는 데이터를 수집했다. 또한 지난 2021년 10월부터 66개 집중 관찰 대상 그룹의 260여명을 조사했다.   센터는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차별을 겪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78%는 미국에서 태어났더라도 외국인처럼 대우받았다고 답했다.   63%는 일상에서 아시아계라는 이유로 수학을 잘한다는 등 정형화된 인종차별을 겪었다고 말했다.   마크 로페즈 센터 연구원은 “코로나19가 미국 내 아시안 성인을 향한 증오범죄와 차별의 시작점이 됐다”고 설명했다.   필리핀 출신 이주자 리지 마리오 볼로레이오는 “아시안 증오범죄는 별로 주목받는 이슈가 아니었다”면서도 “코로나19 이후 문제시됐다. 사람들이 길에서 밀쳐지고 고향으로 돌아가라는 말을 들어야 했다”고 했다.   센터는 미국 내 아시안의 3분의 1이 지난해 증오범죄 증가 이후 그들의 일상을 바꿔야 했다고 지적했다. 신체적 협박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센터는 또 시민권이 있는 아시안 성인의 57%도 외국인처럼 대우를 받는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앞서 센터가 지난해 내놓은 같은 주제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내 아시안의 81%가 그들을 향한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낯선 이들에게 “집으로 돌아가라”는 등의 이야기를 들었다는 피해 사례가 보고됐다.     또한 그들은 영어를 못하는 것처럼 호도되거나 공공장소에서 아시안의 언어를 쓴다고 비난받거나 이름이 잘못 불리는 일 등을 겪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아시안 아시안 인종차별 아시안 성인 아시안 증오범죄

2023-11-30

[삶의 뜨락에서] 우리 모두는 서로의 일부이다

 지난 연말, 브루클린에 사는 아들네를 오랜만에 방문했다. 거의 일 년 반만의 만남이었다. 이것이 팬데믹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의 현실일 것이다. 브라운스톤 빌딩이 죽 늘어서 있는 고색창연한 거리에는 알록달록한 크리스마스 불빛이 어두운 시대를 사는 우리를 격려해 주고 있었다. 보지 못하는 사이 어엿한 숙녀로 성장해 있는 손녀를 보는 심정은 기쁜 만큼 낯설고 아프기도 했다. 시간은 그렇게 강물 흐르듯 수월하게 지나갔다.   저녁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신문기자인 아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사립학교에서 공립고등학교, Ivy League 대학에 이르기까지 미국 전역의 학교는 교수진을 다양화하고 커리큘럼을 확장하며 반인종차별 지침을 채택함으로써 인종과 특권에 관한 빠르게 변화하는 규범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특히 늘어나는 아시안 인종차별에 대한 분노를 터뜨리면서 늙은 부모인 우리를 염려하는 눈치였다.     12학년인 손녀는 학교에서 경험한 에피소드를 들려주었다. 친구들이 나에게 묻는다고 한다. “When did your family come to the United States?” “My grandparents came to this country 50 years ago. So, I must be third generation”이라고 한다면서 White European 학생들에게는 전혀 어디서 왔는지 그 뿌리에 대해 궁금해하지 않는다고 한다. 얼마 전 Anti-Asian에 대한 내용의 각본을 자신이 직접 써서 Young Artists Society의 연극무대에 올렸다고 한다. 대학입학 원서에도 그 각본을 제출할 것이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손녀의 눈빛은 초롱초롱 타오르고 있었다.     백인 중심의 가치관이 판치던 1940년대, 검은 피부로 인해 자신이 추하고 사랑과 존경을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 토니 모리슨의 소설 ‘The bluest eye’에 나오는 주인공인 11세 흑인 소녀 피콜라브리드러브는 자신의 불행이 그 어떤 외부적 요인도 아닌 자기 자신의 외모에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당시의 문화 아이콘인 셜리 템플과 같은 파란 눈을 소망한다. 파란 눈이 자신과 가족에게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 믿는다. 그녀의 눈이 파랗게 변하여 미국의 모든 금발의 파란 눈을 가진 아이들처럼 사랑받고 아름다워지기를 기도한다.     은 피부를 선호하는 색채 주의는 이 나라의 구조에 너무 깊숙이 뿌리박혀 있어 우리는 모두 알게 모르게 감염되고 있다. 무엇보다 슬픈 점은 이러한 편견에 대한 교훈이 가정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더는 하얗지 않고, 다시는 하얗지 않을 것이다’라고 이야기한 미국의 가장 위대한 사상가이자 작가 중 한 명인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은 인종적 진보에 대한 미국의 생각은 내가 얼마나 빨리 백인이 되는지로 측정된다고 비난했다. 그는 백인이든 흑인이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나 자신이 정의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 했다. 아직 그가 살아있다면 오늘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과 계속되는 불평등에 항의하는 시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   볼드윈은 “우리 각자는 영원히 무기력하고, 여성 속에 남성, 남성 속에 여성, 검은색 속에 흰색, 흰색 속에 검은색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서로의 일부이다”라는 멋진 말을 남겼다. 그런 세상은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려야 오는 것일까? 이춘희 / 시인삶의 뜨락에서 반인종차별 지침 아시안 인종차별 공립고등학교 ivy

2022-02-28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도 '아시안 인종차별' 봉변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체조선수 수니 리(18.사진)가 인종차별 폭력에 노출된 경험을 털어놓았다. 11일 CNN에 따르면 리는 지난달 아시아계 친구들과 시간을 보낸 뒤 밖에서 차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그들 옆으로 차 한 대가 지나가더니 차에 탄 사람들이 ‘칭총(ching chong)' 같은 동양계 비하 발언을 쏟아내면서 “왔던 곳으로 되돌아가라”고 쏘아붙였다.   승객 한 명은 수니 팔에 후추 스프레이를 뿌렸고, 그들은 곧바로 현장을 벗어났다.   리는 “너무 화가 났지만 그들이 바로 도망갔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게 없었다”며 “유명인으로서 곤란할 수 있는 일에 휘말리는 건 원치 않아 그냥 놔뒀다”고 말했다.   아시안 혐오와 인종차별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급증했다. 아시아계에 대한 인종차별을 추적하는 비영리단체 ‘스톱 AAPI 헤이트’에 따르면 올해 1∼6월간 관련 행위 4533여 건이 보고됐다.   라오스 출신 몽족인 리는 지난 7월 도쿄올림픽 여자 기계체조 개인종합 금메달을 획득한 뒤 인터뷰에서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당시 리는 “우리를 이유 없이 혐오한다”며 “우리가 그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건 멋진 일”이라고 말했다.미국 금메달리스트 아시안 인종차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인종차별 폭력

2021-11-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